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지폐 및 동전 등 화폐발행의 독점적 권한을 통하여 공급한 통화를 말하며, 화폐발행액과 예금은행이 중앙은행에 예치한 지급준비예치금의 합계로 측정된다. 본원통화는 모든 통화공급의 기초가 되며, 통화관리정책 수행에 중요한 지표로 사용된다. 본원통화의 변화는 본원통화 변화의 승수(乘數) 배(倍)만큼 통화공급을 변화시킨다. 승수는 지급준비율과 현금예금비율에 의하여 결정되며, 통화승수(通貨乘數, money multiplier)라고 부른다.
한 나라의 통화공급은 1차적으로 중앙은행의 창구를 통한 화폐발행에서 비롯된다. 중앙은행은 자금시장동향 및 국내경제사정을 감안하여 금융기관에 대한 대출과 금융기관 보유채권의 매입, 정부에 대한 대출 또는 정부발행채권의 인수, 정부대행기관에 대한 대출, 외환시장에서의 외환매입활동 등의 방법으로 화폐를 공급한다. 보통 공급된 화폐는 민간의 현금보유성향에 따라 일부를 민간이 보유하게 되고, 나머지는 은행 등의 금융기관으로 다시 유입된다. 은행들은 유입된 화폐의 일부를 예금지급준비금으로 중앙은행에 예치하거나 은행금고에 시재금(時在金: 은행이 보유한 현금)으로 보유하고 나머지는 민간에게 대출하게 된다. 이때 민간이 보유한 화폐와 금융기관의 시재금을 합친 것을 화폐발행액이라고 하며, 화폐발행액과 금융기관의 중앙은행에 대한 예금지급준비금을 합친 것을 본원통화라 한다.
일반은행이 창조하는 파생통화는 중앙은행이 공급하는 본원통화의 양에 의하여 결정된다.
출저 : 네이버 지식백과
'용어 정리 > 시사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디락스 경제 (Goldilocks Economy) (0) | 2024.02.27 |
---|---|
분수효과 (fountain effect, trickle-up effect) (0) | 2024.02.25 |
베블런 효과 (veblen effect) (0) | 2024.02.25 |
뱅크런 (Bank run) (0) | 2024.02.25 |
매몰비용 (Sunk cost) (0) | 2024.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