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상식4 파킹통장 뜻 파킹통장은 주차를 의미하는 ‘parking’과 통장을 합한 용어로 수시입출금식 예금을 의미한다. 즉 차를 잠시 주차하듯 언제든지 돈을 넣고 뺄 수 있는 통장이다. 파킹통장은 토스, 카카오뱅크와 같이 시중은행보다 더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인터넷 은행이 생기면서 관심을 갖는 이들이 많아졌다. 파킹통장은 자유입출금통장과 달리 하루만 맡겨도 이자를 책정하고 지급한다. 따라 예치 기간이 짧아도 비교적 높은 금리를 얻을 수 있다. 예치금액과 기간, 입출금 횟수에 관계없이 약정이자를 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파킹통장은 최고금리가 적용되는 예치금의 한도가 정해져 있어 수억 원 규모의 거액을 예치하기는 어렵다. 이자를 최대한 얻으려는 자산 많은 고객은 최고금리 적용 한도에 맞게 여러 금융사에 파킹통장을 개설하고.. 2024. 3. 17. 청년도약계좌 청년들을 대상으로 월 70만원을 5년간 모으면 5000만원을 만들 수 있는 계좌를 말한다. 월 납입금의 최대 6%를 정부가 보조하고, 여기에 은행 이자가 붙는 방식이다. 소득 6000만원 이하 19~34세를 대상으로 2023년 6월부터 2025년 말까지 가입 가능하다. 청년희망적금과 달리 가구 소득이 추가됐다. 가구 소득은 높은데 개인 소득이 낮아 정부 지원금을 많이 받아가는 부작용을 막기 위해서다. 정부 기여금은 개인·가구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결정된다. 소득이 낮으면 본인 납입금의 6%, 소득이 높으면 3% 기여금이 붙는 방식이다. 월 70만원에 6% 기여금이 붙으면 74만2000원으로 5년 동안 모으면 4452만원이 된다. 정부 지원은 계좌에서 발생하는 손익 등을 정부가 부담하고, 만기시 이자·배.. 2024. 2. 22. 경제 블록 Economic block 국제 경제의 개방화 추세와 더불어 공간적 접근이 쉽고 상호 이익을 추구할 수 있는 인접국끼리 자국의 경제적 이익을 위한 국제 기구를 만들어 공동 보조를 취하는 경제 공동체를 두고 일컫는다. 유럽 연합 (EU), 북아메리카 자유 무역 협정(NAFTA), 아시아 · 태평양 경제 협력체(APEC),동남 아시아 국가 연합 (ASEAN) 등이 경제 결속을 위한 대표적인 경제 협력 기구이다. 출저 : 네이버 지식백과 2024. 2. 22.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일본 주도로 아시아·태평양 11개국이 출범시킨 경제 협정으로, 다양한 분야의 제품에 대한 역내 관세를 전면 철폐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018년 12월 30일 발효되었으며 2023년 7월 영국이 추가로 가입하면서 총 12개 회원국으로 이뤄져 있다. 출저 : 네이버 지식백과 2024. 2. 2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