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의속성용어13 정크본드 뜻 신용등급이 낮은 고위험•고수익 채권으로 투자 부적격채권을 말한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들은 회사채 발행이 어려워 정크본드 발행으로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 정크(Junk)란 쓰레기를 뜻하는 말로 정크본드를 직역하면 쓰레기 같은 채권이다. 기업 신용등급이 매주 낮아 회사채 발행이 불가능한 기업이 발행하는 회사채로 고수익채권 또는 열등채를 지칭한다. 원리금 상환에 대한 불이행 위험이 크기에 이자가 높다. 1970년대 미국 정크본드 시장 대부로 불린 마이클 밀켄이 하위등급 채권을 정크라고 부른 데서 시작됐다. 당시 신용도가 높은 우량기업이 발행한 채권 중 발행기업 경영이 악화돼 가치가 떨어진 채권을 가리켰다. 하지만 요즘에는 성장성은 있지만 신용등급이 낮은 중소기업이 발행한 채권이나 기업.. 2024. 3. 17. 장외시장 뜻 장외시장이란 한국거래소가 개설하는 시장외에서의 매매거래가 이루어지는 시장을 말한다. 장외시장은 증권유통시장의 한 분야로서 일정한 조직과 설비를 갖춘 한국거래소시장에 대한 상대적 개념으로 파악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한국거래소시장이 거래방법과 거래참가자의 자격 등 증권거래에 관련된 제반사항에 엄격한 규정을 두고 조직적으로 관리하는 구체적 시장인 반면에 장외시장은 한국거래소시장 밖에서 고객과 증권회사, 증권회사 상호간 또는 고객상호간에 개별적으로 거래가 이루어지는 비조직적인 추상적 시장이라고 할 수 있다. 장외시장은 다시 그 거래주체와 장소에 따라 증권회사의 창구에서 고객과 증권회사 사이에 이루어지는 창구시장(Over-the- Counter Market)과 증권회사가 개입하지 않고 고객끼리 개별적으로 거래하.. 2024. 3. 17. 주당순이익 (EPS : Earnings per share) 기업이 얻은 순이익(당기순이익)을 기업이 발행한 총 주식의 수로 나눈 것으로 1주당 창출한 이익이 얼마였느냐를 나타내는 지표다. 주당이익은 기업이 1년 동안 벌어들인 수익에 대한 주주의 몫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EPS가 높으면 높을수록 주식의 투자가치가 높다고 판단한다. 또한 주당이익은 발행주식의 가치평가에 이용되고, 배당 정책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도 한다. 2024. 2. 27. 조세부담률 (ratio amount of taxes) 국민들이 소득 중에서 얼마만큼을 세금으로 부담하느냐를 나타내주는 지표로 법인을 포함한 국민들이 1년 동안 낸 세금총액을 국민총생산(GNP)으로 나눈 비율을 말한다. 한국에서는 국민총생산에 대한 비율을 택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국민소득에 대한 비율로 표시하는 예가 많다. 국민소득, 즉 1년 간 국민이 새로 생산한 순생산물에서 얼마나 조세로서 국가에 분할되는가를 나타내며, 한 나라 재정의 상대적 규모를 제시하는 지표가 된다. 조세부담률이 낮다고 해서 결코 좋은 것은 아니다. 국민들의 가처분소득이 많아 민간경제가 활성화된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긴 하나 정부의 재원확보가 불충분, 공공사업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 세금의 주요 기능 중 하나인 소득재분배 기능이 약화돼 계층간 소.. 2024. 2. 27.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