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의속성용어13

베블런 효과 (veblen effect) 가격이 오르는 데도 일부 계층의 과시욕이나 허영심 등으로 인해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 현상. 미국의 사회학자이자 사회평론가인 베블런(Thorstein Bunde Veblen)이 1899년 출간한 저서 《유한계급론(有閑階級論)》에서 "상층계급의 두드러진 소비는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하여 자각 없이 행해진다"고 말한 데서 유래하였다. 베블런은 이 책에서 물질만능주의를 비판하면서 상류층 사람들은 자신의 성공을 과시하고, 허영심을 만족시키기 위해 사치를 일삼는다고 꼬집었다. 베블런효과는 상류층 소비자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소비 행태로, 가격이 오르는 데도 수요가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예를 들어 값비싼 귀금속류나 고가의 가전제품, 고급 자동차 등은 경제상황이 악화되어도 수요가 줄어들지 .. 2024. 2. 25.
뱅크런 (Bank run) 경제 악화로 금융시장에 위기감이 조성되면서 은행의 예금 지급 불능 상태를 우려한 고객들이 대규모로 예금을 인출하는 상황을 가리키는 말이다. 발생원인 뱅크런은 두 가지 이유가 있는데 그중 하나는 은행들의 자금운용 방식에 원인이 있다. 은행은 예금자들로부터 받은 예금을 이용하여 대출을 실시하고, 유가증권 등에 투자를 하며, 일부는 예금자들의 예금 인출 요구에 대비하여 지불준비금으로 항시 보유한다. 대출 및 유가증권 투자는 만기가 길어 장기적인 활동인 반면, 예금에 대한 인출 요구는 즉각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성격이 있기 때문에 은행은 단기로 돈을 빌려서 장기로 자금을 운용하게 된다. 이때 모든 예금자들이 한꺼번에 예금 인출을 위해 은행으로 몰려든다면 은행은 짧은 시간 내에 지불준비금만으로 충당할 수 없게 되어.. 2024. 2. 25.
명목금리 (Nominal interest rate) 물가가 상승할 경우 이로 인해 시중의 금리수준은 물가상승을 반영, 높게 결정되지만 금리의 실제가치는 떨어질 수도 있다. 이처럼 명목금리는 외부로 표현되는 금리이며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뺀 금리가 실질금리다. 출저 : 네이버 지식백과 2024. 2. 25.
매몰비용 (Sunk cost) 현재 집행 중에 있는 정책이나 계획에 따라 이미 투입된 경비나 노력·시간 등. 매몰 경비는 합리적인 정책을 결정하는데 제약을 주는 요인[환경적 요인]이 된다. 매몰비용이 정책결정을 하는데 제약요인이 된다는 것은 행정조직이 기존의 정책 또는 계획에 따라 착수한 사업이 진행되어 그것에 이미 많은 자금이나 노력·시간을 들었을 경우, 이를 포기할 수 없으므로 새로운 정책이나 계획을 합리적으로 수립하는데 있어서 걸림돌이 된다는 뜻이다. 이를테면 정권교체에 의하여 새로 들어선 정부가 선거공약으로 내세웠던 정책을 실현하기 위하여 종래의 정책·계획을 대폭 수정하여 새로운 계획을 세우려 해도 이미 진행되고 있는 사업에 투입된 많은 비용과 노력, 즉 매몰비용 때문에 사실상 합리적(→합리주의)인 정책수립이 어렵게 되는 것이.. 2024. 2.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