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밑줄/자기개발

부의 레버리지 | 보도 새퍼

by Archive A 2024. 2. 21.

부의 레버리지

 

무조건 더 열심히 일하는 것만이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더 열심히 벌다 보면 언젠가는 저축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희망도 품는다. 하지만 소득이 늘어날수록 생활 수준도 수입액과 평행선을 이루며 상승한다. 그 만큼 빚도 점점 늘어난다. 한번 경험한 높은 생활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 빚을 갚고 각종 청구 금액을 결제하기 위해 더 열심히 그리고 더 오래 일할 수밖에 없다. 마치 쳇바퀴를 도는 다람쥐처럼 사람들은 끊임없이 돈을 벌고 또 쓰기를 반복한다. 아무리 죽어라 노력해도 단 한 발자국도 앞으로 나아갈 수 없는 개미지옥에 빠진 형국이다. 쳇바퀴를 도는 한 아무리 힘들게 일해도 결국 제자리일 수밖에 없다.

 

별의 어느 분야에 있든 고소득으로 향하는 열쇠는 자신을 전문가로 포지셔닝하는 것이다. 

 

새로운 시대에는 무엇보다 아이디어가 가장 중요한 자산이다. 아이디어를 어떻게 하면 팔 수 있을지 고민하라.

 

실수는 미래를 미리 보여 주는 거울과도 같다. 실수를 거듭해 미래를 채무로 채울지, 실수를 만회해 투자로 만들지는 자신에게 달렸다. 

 

실수는 누군가 살아 있다는 증거이며 미래를 위한 투자다. 성공으로 가는 길은 언제나 실수를 넘어가야 한다.

 

누구나 평생 동안 끊임없이 베으거 상징헤애 힌디/ 힉교를 떠난다고 해서 학습 과정이 끝나진 않는다. 매 순간 마주하는 사회 우등생의 공부를 학습해야 한다.

 

전략이란 아직 성공을 거두고 있을 때 바꿔야 하는 것이다. 끊임없이 자신에게 질문하라. "나의 능력이 새로운 세계에서도 과거만큼이나 가치가 있을까? 나는 무엇을 바꿔야만 하는가?

 

더 개선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때때로 과거에서 완전히 벗어나 새로운 일을 찾아내야만 한다.

 

삶의 질은 자신이 믿고 따르는 규칙이 만들어 내는 결과일 뿐이다. 랠프 월도 에머슨은 이렇게 말했다. "전통만 고수하는 사람은 언제나 같은 곳에 머무르게 될 것이다. 전통을 집어던져 버리는 사람만이 온 세계를 그의 손에 쥐게된다."

 

만약 당신의 특정한 특성이 목표를 달성하는데 발목을잡는다면 그 약점을 진지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이런 경우에는 약점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를 고민해야 한다.

 

큰 성과를 목표로 한다면 자신의 강점을 면밀히 파악해야 하고 오롯이 그 ㅂ부분에 집중해야 한다. 설령 그 대가로 커다란 약점을 감수해야만 하더라도 말이다. 만약 성과를 넘어 인생의 행복을 얻고자 한다면 장신의 발목을 붙잡는 약점을 해소할 해결책을 찾거나 당신의 강점으로 바꿔 놓아야 한다.

 

업무 시간을 세 종류로 구분한다. 일상 업무, 학슴, 전문가로서의 포지셔닝. 노동 시간의 최소 10퍼센트를 학습에, 20 퍼센트를 포지셔닝을 위한 시간에 활용한다. 나머지 70퍼센트는 일상 업무를 위해 활용한다. 사실 가장 이상적인 비율은 1/3 : 1/3 : 1/3 이다.